ABOUT ME

-

Today
-
Yesterday
-
Total
-
  • 배열과 배열함수
    카테고리 없음 2022. 1. 4. 15:54
    12

    자바스크립트는 프로토타입

    array

    데이터 타입 중 하나 군집형.
    애는 대입연산자 뒤에 붙는 것
    하나의 변수에 여러가지 값이 들어감
    let arr = ( )

    배열

    파일 속성을 보여주는 명령어

    typeOf

    console.log(typeof  arr)
    

    객체의 길이를 보여주는 명령어

    console.log(arr.length)
    console.log(typeof arr.length)
    let str = "글자형이다~"
    console.log(typeof str)
    

    push

    push 배열 뒤에다가 값을 하나 추가하는 행위

    arr.push('hi')
    

    pop

    배열의 가장 마지막 값을 삭제함

    arr.pop()
    

    unshift

    배열의 가장 앞에서부터 값을 추가한다.

    arr.unshift('hi')
    

    shift

    배열의 가장 앞에 값을 삭제한다.

    arr.shift()
    

    splice

    배열에서 원하는 인덱스의 값을 삭제하거나 삭제하고 추가할 수 있다.

    arr.splice(1,1) // 인덱스 1부터 1개 삭제
    

    concat

    두개의 배열을 연결한다.

    arr.concat(arr2) // arr에 arr2를 연결
    

    indexOf

    배열에서 처음으로 발견된 값의 인덱스를 리턴한다. (없는 값을 입력하면 -1이 반환됨)

    arr.indexOf('hi') // 0
    arr.indexOf('hello') //-1
    

    lastindexOf

    배열에서 마지막으로 발견된 값의 인덱스를 리턴한다.

    arr.lastindexOf('come') // 2
    

    includes

    아이템이 배열에 포함되어 있으면 true, 포함이 안되어 있으면 false를 반환한다.

    arr.include('come') // true
    

    속성과 메서드

    매서드는 뒤에 () 가 붙는다. (동사)
    속성은 뒤에 ()가 없다. (명사 표현만 하고싶을때 씀)

    arr.name //속성
    
    arr.create() //메서드
    

    블록 배열에 있는 모든 값을 출력하세요

    사진

    배열을 이용해서 개를 출력하시오.

    let  dog = ['|\\_/|','|q p| /}','( 0 )"""\\','|"^"\` |','||_/=\\\\__|']
    
    console.log(dog[0]+'\n'+dog[1]+'\n'+dog[2]+'\n'+dog[3]+'\n'+dog[4]+'\n')
    

    배열을 이용한 반복문 예시

    var  arrays = [1,2,3,4,5,6,7,8,9,10]
    
    for(var  i=0;i < arrays.length; i ++){
    
    console.log(arrays[i])
    
    }
    
    for(var  i  in  arrays){
    
    console.log(arrays[i])
    
    }
    

    강아지 출력 문제

    역슬래시를 단독으로 사용하기 위해서 연속으로 두개를 적어야한다. ( \)

    3번째 줄과 4번째 줄에는 큰 따옴표를 출력해야 하기 때문에 문자열을 둘러싸는 따옴표를 작은 따옴표로 사용해 그 안의 문자들이 출력될 수 있도록 함

    cosole.log(`|\\_/|
    
    |q p| /}
    
    ( 0 )"""\\
    
    |"^"\` |
    
    ||_/=\\\\__|`)
    

    ( ` ) 이것을 이용해 안쪽에 있는 문자들을 문자그대로 쓸 수 있게 해줬다.

    • \n : 줄바꿈
    • \t : 수평 탭
    • \ : \ 역슬래시 문자 자체를 쓸때
    • ’ : 작은따옴표 문자 자체
    • " :큰따옴표 문자 자체

    배열함수

    수직형 데이터

    let  obj = {}
    
    console.l
    
    arr= {
    
    name:'ingoo', //arr의 이름 정의
    
    create:  function  create(){ //함수 추가
    
    console.log('함수생성')
    
    },
    
    block:{ //block이란 객체 추가
    
    index:1,
    
    nonce:1023,
    
    },
    
    list:[ //list 배열 추가
    
    10,20,30
    
    ]
    
    }
    
    arr.name
    
    arr.create()
    
    console.log(arr.block.nonce) //호출
    console.log(arr.list.length) //호출
    
    let  arr2 = [10,20]
    
    console.log(typeof  arr)
    
      
    
    let  obj2 = {
    
    0:10,
    
    1:20,
    
    2:30,
    
    length:3
    
    }
    
    console.log(obj2)
    
Designed by Tistory.